맨 위로
HOME > 한국문화 > 문화정보(포스트)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세계로 뻗아가는 한류

2023.06.30 04:51 | 조회 4513
  • 폰트
  • 확대
  • 축소

세계로 뻗어가는 한류

음양(4) -


본부도장 김덕기


드라마와 노래로 시작된 한류는 전 세계에 한국 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의식주를 대표하는 한복과 한식, 한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류를 시샘한 중국이 우리 문화의 원조가 자신들이라고 우기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아보겠습니다.


태극의 선율이 담긴 한복


🌌한복에 담긴 역易 철학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중국은 “모든 것이 중국 것”이라는 논리를 전 세계에 선보였습니다. 그리고는 ‘한복, 삼고무, 상모돌리기, 장구, 떡 메치기, 윷놀이, 김장, 강강술래, 한과, 꿀떡, 막걸리’ 등 우리 문화를 자신들의 것으로 포장했습니다. 문화 침탈을 넘어 문화 강탈을 한 것입니다. 특히 중국은 한복韓服의 원조가 한족漢族의 전통 복식인 한푸漢服라고 우기면서 한복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있습니다.


옷은 인간의 의식 구조 발달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한복을 지키고 알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의복은 단지 신체를 가리는 목적으로 입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소우주인 인체의 철학적 정신세계를 내포한 형태로 만들어 착용함으로써 자연 속에 포섭되고 자연과 합일되기를 원했던 것이다. 


- 한복연구가 정옥임 조선대학교 교수


원래 한푸라는 말은 한漢나라 시대의 복식을 의미했습니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만주족의 전통 복식인 치파오旗袍(qí páo)가 유명하여 치파오를 한족의 전통 복식이라고 여긴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중국의 중화사상中華思想이 가세하면서 중국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한푸를 중국의 모든 전통 복식을 일컫는 단어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동아시아는 문화적으로 매우 가까워서 서로 영향을 끼쳤습니다. 우리나라는 조선 이전까지 당唐나라의 영향을 받아 단령團領을 관복으로 사용했습니다. 중국에서는 명明나라 홍치제 이전까지 고려양高麗樣이 유행했습니다. 고대에 우리 민족은 말을 타고 활을 쏘며 생활했습니다. 그래서 삼국 및 가야의 기본 의복도 서로 닮아서 좁은 소매의 저고리와 좁은 바지, 즉 착수궁고窄袖窮袴였습니다.


이에 비해 한푸는 몸을 많이 감거나 넓게 제작한 복식이 특징이었습니다. 본래는 남녀를 불문하고 바지가 없었지만,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 이후 북방계 호복胡服이 들어오면서 바지를 도입했습니다.*1)


*1) 「나무위키」‘한푸’, 「민속소식」 ‘한복의 변천사’ 참고


김상일 교수는 한복의 독창성을 원방각圓方角(○□△)에서 찾고 있습니다. 원방각 원리는 남성 바지뿐만 아니라 여성의 저고리, 나아가 한복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한복 바지는 원형인 ‘허리(1개)’, 방형인 ‘마루폭(좌우 2개)’, 각형인 사폭(큰사폭 2개, 작은사폭 2개)으로 나뉜다. 이를 두고 천지인 혹은 원방각이라고 한다. 원방각의 시각에서 한복과 비교해 보면, 중국 바지는 ‘원’과 ‘방’만 있지만 ‘각’이 없고, 양복 바지는 ‘방’만 있고 ‘원’도 ‘각’도 없다.


철저한 이원론적 사고방식의 결과로서 결국 2차원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양복을 입었을 때에 몸에 불편한 이유가 3차원 인체에 한 차원이 모자라기 때문이다. 


- 김상일, ‘한복과 중국 옷은 이렇게 다르다’

「통일뉴스」 2022.02.13


이뿐이 아닙니다. 사각형의 옷감을 비틀어서 재단하는 방식은 한복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인류는 처음에 간단한 띠를 허리에 두르는 1차원적인 ‘띠옷(유의紐衣)’을 입었습니다. 그다음에는 나뭇잎이나 동물의 가죽을 펴 말리거나 가로와 세로를 서로 엮은 사각형으로 옷을 해서 입었습니다.


사각형에서 2차원 ‘포의布衣’를 거쳐 몸에 두르는 ‘권의捲衣’로 발전했습니다. 사각형을 비틀지 않고 전후, 좌우, 상하 대칭이 분명하도록 재단한 것이 서양 옷과 중국 옷입니다. 그에 비해 한복은 사각형을 비트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인체에 꼭 맞는 3차원의 형태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옷은 반드시 사각형의 가로와 세로를 비튼 뫼비우스 띠, 클라인 병, 그리고 사영평면射影平面을 통해 재단된다. 이는 차원 상승을 의미하며 차원 높은 의식 구조에서만 나올 수 있는 소산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한복 바지는 뫼비우스 띠의 3차원적 원리에 의하여 재단되기 때문에 한 치의 허실도 없이 정확하게 한복 바지의 입체형을 가늠해 낼 수 있다. 전후, 좌우, 내외가 구별되는 옷감의 구별이 뚜렷한 서양 옷감, 특히 벨벳 같은 옷감은 비틀림의 원리를 응용할 수 없어서 옷감의 양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 김상일, ‘한복과 중국 옷은 이렇게 다르다’

「통일뉴스」 2022.02.13


뫼비우스 띠(Möbius strip)는 1858년 독일 수학자 뫼비우스August Ferdinand Möbius와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Johann Benedict Listing이 각각 발견했습니다. 종이를 길게 잘라 띠를 만든 후 양 끝을 한 번 꼬아서 붙여 만듭니다.


띠의 한쪽 면 중앙을 따라 선을 쭉 그어 보면 뒷면인 것 같지만, 어느새 처음 출발한 곳에 선이 맞닿아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즉 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밖의 구분이 없고, 한 면만 있어 ‘무한한 반복’을 의미합니다.


뫼비우스 띠는 역易 철학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종이는 태극입니다. 종이의 한 면이 음이라면, 다른 면은 양입니다. 종이를 길게 잘라서 양 끝을 그냥 붙이면 동그란 모양이 됩니다. 그러면 음과 양은 영원히 만날 수 없습니다. 뫼비우스 띠처럼 종이의 양 끝을 꼬아서 붙여야 음과 양이 만날 수 있습니다.


즉 음의 극에서 양이 시작되고 양의 극에서 음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뫼비우스 띠는 음생양陰生陽, 양생음陽生陰하며 운동하는 태극의 상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뫼비우스 띠를 응용하여 만든 한복은 태극의 원리로 만든 태극 옷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명을 숭상한 백의민족

한국 빨래의 흰색은 항상 나로 하여금 현성축일顯聖祝日(the Transfiguration)에 나타난 예수님의 옷에 대해 성聖 마가가 언급한 ‘세상의 어떤 빨래집도 그것을 그토록 희게 할 수 없다.’는 말을 기억하게 했다. 

- 이사벨라 버드 비숍,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393쪽


영국 왕립지리학회의 최초 여성 회원으로 우리나라를 네 차례나 다녀간 이사벨라 비숍Isabella Bird Bishop 여사가 한복의 흰색을 묘사한 글입니다. 그녀 외에도 독일 상인 오페르트Ernst Jakob Oppert 등 많은 외국인이 우리 민족의 흰옷 풍습을 기록했습니다.


조선 사람의 옷 빛 색깔은 남자나 여자나 대개가 다 희다. …… 먼 곳에서 보면 그들의 흰 의복은 사랑스럽고 친근한 인상을 준다.

- 오페르트, 『조선기행』 90~92쪽


늙은이나 젊은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같은 흰색의 옷을 입는다는 것은 어찌 된 연유일까? 이 세상에는 나라도 많고 민족도 많다. 그렇지만 이처럼 기이한 현상은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의 미술』 1922년 1월호


우리 조상들은 흰옷을 잿물에 담가 두었다가 펄펄 끓여 순전한 흰색을 내서 입을 정도로 백의白衣를 숭상했습니다. 중국 사서에 이에 관한 기록이 많은 걸 보면, 예전에도 백의를 선호하는 우리 민족을 흥미롭게 여겼던 것 같습니다.


의복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衣尙白 白布大袂 袍袴 履革鞜).

- 『삼국지』 「위지 동이전」 <부여 조>


풍속⋅정치형벌⋅의복은 대략 고려⋅백제와 같다. 옷 색은 흰빛을 숭상한다(風俗刑政衣服 略與高麗百濟同 服色尙素). - 『수서』 「동이열전」 <신라 조>


흰옷은 금방 더러워져서 빨래를 자주 해야 하고, 그러다 보면 금방 해지게 되어 여러모로 번거롭습니다. 그럼에도 남녀노소 모두 똑같이 흰옷을 입은 모습은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풍습입니다. 일제 식민 사학자들은 그 이유를 염료 부족과 염직 기술의 부진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양반들이 화려하게 염색된 옷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의 아이들이 색동옷을 입고 기녀들도 다양한 색깔의 옷을 입었다는 점에서 전혀 맞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은 왜 백의를 선호한 것일까요?


예로부터 중국인은 흰옷을 죽은 옷이라고 생각해서 검은 옷을 즐겨 입었습니다. 그래서 『주례周禮』에서는 ‘역질이나 기근이 크게 들거나 홍수, 가뭄이 들면 임금이 흰옷을 입는다.’고 적고 있습니다. 반대로 서양에서는 검은 옷이 죽은 옷입니다. 일본인은 남색을 즐겨 입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상복은 물론이고 일상복도 흰옷을 널리 입은 ‘백의민족’입니다. 흰색은 모든 색깔 가운데 가장 밝은색입니다. 그래서 흰색은 밝고 환한 하늘의 빛, 신성한 광명을 의미합니다. 광명의 땅 동방에 살면서 밝고 환한 것을 좋아하는 우리 민족의 품성이 더해져 흰옷을 선호한 것입니다.


대개 우리 민족은 옛날에 태양을 하느님으로 알고 자기네들은 이 하느님의 자손이라고 믿었는데 태양의 광명을 표시하는 의미로 흰빛을 신성하게 알아서 흰옷을 자랑삼아 입다가 나중에는 온 민족의 풍속을 이루고 만 것입니다.

-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또 다른 이유는 색깔이 계급을 상징했기 때문입니다. 흰옷은 하늘에 천제를 올리는 제사장 계급이 입을 수 있는 옷이었습니다. 고대 한국인은 밝고 환한 흰옷을 입고 항상 하늘의 상제님께 천제를 드리며 생활했습니다. 그러므로 제사 때 흰떡⋅흰밥⋅흰 술을 사용하는 관습이 하늘에 제사드리는 천제天祭 의식에서 유래했듯이 흰옷 역시 천제에서 유래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스키타이족은 …… 상층부의 지배 계급은 종교 계급과 무사 계급으로 나뉘었는데, 스키타이계 왕국인 신라의 골품제도와 같이 흰 뼈 제도라는 것이 있어서 신분에 따라 옷 색깔을 구분해서 입었다. 무사 계급은 적색 옷을 입었으며 종교 계급은 흰색, 유목민은 청색, 농민은 황색 옷을 입었다.

- 김정민, 『샤먼 바이블』 32쪽


옷의 색깔이 계급을 상징했기 때문에 지배층은 자신들과 민중을 구분하고 다스리기 위해 색을 통제했습니다. 『구당서』 「고구려 조」에서는 ‘의상과 복식은 왕만이 오채五彩로 된 옷을 입을 수 있다.’고 적고 있습니다.


『신당서』에서도 ‘백제에서는 지배층이 붉은색 계통을 즐겨 입은 데 반해 백성에게는 금지했다.’고 합니다. 지배층은 흰옷과 채색옷을 모두 입었지만, 일반 백성에게는 흰옷만 입게 하여 신분 질서 유지에 활용한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흰색은 백성의 색이 되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백의 사랑은 여러 차례 반포된 백의금지령白衣禁止令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고려 말 충렬왕은 ‘오행 사상으로 고려는 동東이므로 목木이 되고, 목은 청靑이니 흰옷을 금지시키고 푸른 옷을 입혀야 한다.’고 영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백성들의 반발이 거세 고려 말기에는 흰색이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국가적으로 권하는 푸른 옷도 널리 입었습니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도 여러 차례(태조 7년, 태종 원년, 세종 7년, 연산군 11⋅12년, 인조 26년, 현종 11⋅12⋅17년, 숙종 2⋅17년, 영조) 거듭 푸른 옷을 권장하고 백의금지령이 내렸으나 흰옷 선호는 불식되지 않았습니다. 흰옷을 못 입게 한 양반들은 흰색의 사촌쯤 되는 옥색으로 면피를 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국가적으로 자주 흰옷 금지령을 내렸으나 흰옷을 사랑함에 있어서는 양반과 상놈이 따로 없었다. 중국 자신을 중화中華다운 색깔, 즉 황색으로 설정하고 동방인 조선은 청색으로 설정한 데서 방향성이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된 것이다.

- 주강현, 『왼손과 오른손』 136쪽


고종 시기에도 세탁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색깔 옷을 장려하고 흰옷을 금하라는 명을 내렸지만 유독 흰옷을 선호하는 경향은 쉽사리 바뀌지 않았습니다. 일제 강점기 때도 조선총독부가 색깔 옷을 착용하는 걸 계속해서 권장하였으나, 오히려 일제의 정책은 백의를 한민족의 얼이자 정체성으로 강조하게 되는 반작용을 일으켰습니다.


1920년대에도 흰옷을 입는 풍습은 여전해서 ‘사람들이 운집하는 시장은 마치 솜 밭같이 희다.’고 외국인들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고대로부터 장구하게 이어진 흰옷 선호 풍습은 해방 이후 미군 진주와 더불어 양복과 양장의 원색原色 문화가 대대적으로 몰려오면서 최근 수십 년간 퇴색되었을 뿐입니다.


백색은 하늘과 땅을 의미하는 광명의 색이자 불멸의 색입니다. 우리 민족은 갓난아이에게 흰옷을 입히고 죽을 때 또한 흰옷을 입힙니다. 요람에서부터 입관에 이르기까지 백의로 시작하여 백의로 일생을 마치는 광명의 백의민족이 아닐 수 없습니다.*2)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나무위키」 ‘백의민족’ 참고 


━━━━⊱⋆⊰━━━━


음양의 조화를 이룬 한식


🌌김치와 파오차이

최근 들어 중국과 우리나라를 뜨겁게 달군 뉴스는 김치 관련 소식입니다. 중국은 문화공정의 일환으로 파오차이가 김치의 원조라고 왜곡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통해 우리 역사를 뺏고 있는 와중에 터진 일이라 국민의 분노가 더욱 큽니다.


파오차이는 담그다는 의미의 파오(泡)와 야채 반찬을 의미하는 차이(菜)가 결합된 단어로 ‘절인 채소’라는 뜻입니다. 채소 절임은 고난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계절의 변화가 있는 지역이라면 어디서나 만들 수 있습니다. 파오차이 외에도 쓰케모노, 사우어크라우트, 피클 등 다양한 절임 식품이 있습니다.


파오차이는 만드는 방식도 김치와 완전히 다릅니다. 파오차이는 소금에 절인 채소를 바로 발효하거나, 끓인 뒤 발효하는 쓰촨성四川省의 염장 채소입니다. 이에 비해 김치는 1차로 배추, 무 등 원료 채소를 소금에 절인 후에, 절인 채소에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으로 양념해 2차 발효를 시킨 음식입니다. 이처럼 채소를 1, 2차로 나눠 발효시키는 식품은 전 세계에서 김치가 유일합니다.




그런데 필자는 김치와 파오차이의 가장 큰 차이는 음양陰陽의 조화라고 생각합니다. 김치가 식물성과 동물성 재료를 함께 사용하는 데 비해, 파오차이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식물과 동물을 음양에 배속하면 한 자리를 지키는 식물植物은 음에 속하고, 활발히 움직이는 동물動物은 양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식물은 다른 말로 정물靜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식물과 동물은 서로 공생共生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내보냅니다. 반대로 동물은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냅니다. 식물은 땅속의 기운을 밖으로 뽑아내고, 동물은 식물을 먹어서 그 기운을 섭취하고 배설물을 다시 땅으로 돌려보냅니다.


파오차이는 소금과 산초 잎, 고수 등을 물에 넣고 끓인 다음 식힌 즙에 각종 채소를 넣고 절인 식품입니다. 재료 종류에 따라 양배추, 오이, 셀러리 등의 채소를 사용한 것과 돼지 귀, 닭발, 삶은 오리고기 등의 육류를 곁들인 것으로 나뉩니다. 식물성 재료나 동물성 재료를 위주로 만들기 때문에 음의 기운이나, 양의 기운에 편중돼 있습니다.


이에 비해 김치에는 채소뿐만 아니라 새우젓, 까나리 액젓 같은 동물성 재료가 필수로 들어갑니다. 젓갈을 통해 풍부한 유산균이 생성되면서 김치의 맛과 영양이 더해집니다. 지역에 따라 굴을 함께 넣기도 하고, 생태나 생돼지고기를 넣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면 겨울을 나는 동안 부족해질 수 있는 단백질까지 공급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김치는 식물이 가진 음의 기운과 동물이 가진 양의 기운이 함께 조화를 이룬 식품입니다. 음양이 조화된 김치를 먹음으로써 우리는 몸의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배추김치와 무김치

동물의 상체는 양에 해당하고, 하체는 음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사람의 몸을 방위에 배속할 때는 생식기를 북쪽, 머리를 남쪽으로 놓습니다. 동물은 음식을 입으로 먹고 내부 장기에서 영양분을 뽑아낸 후 항문으로 배설물을 내보냅니다. 양의 기관에서 음식을 먹고, 음의 기관에서 찌꺼기를 배출하는 것입니다. 성기를 전음前陰이라고 하고, 항문을 후음後陰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런 관계는 상수象數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입은 하나이고, 대소변을 보는 기관은 둘입니다. 1은 양의 숫자이고, 2는 음의 숫자입니다. 이렇듯 우리 몸의 기관과 장기는 우주 변화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어 있습니다.


식물은 동물과 정반대입니다. 식물은 뿌리를 통해 영양분과 물을 흡수하고, 가지 끝에서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힙니다. 그러므로 뿌리는 동물의 머리이자 입과 같고, 줄기는 몸통, 가지는 팔다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열매가 맺히는 꽃은 생식기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식물의 뿌리는 양에 해당하고, 줄기⋅가지⋅잎⋅꽃⋅열매는 음에 해당합니다.


배추김치, 총각김치, 동치미, 갓김치, 물김치, 나박김치, 깍두기…. 외국의 절임 식품과 달리 김치는 종류가 다양합니다. 모든 채소를 재료로 사용해서 김치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김치를 대표하는 것은 배추김치와 총각김치입니다. 배추김치는 잎을 사용한 김치이고, 총각김치는 뿌리를 사용한 김치입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뿌리는 양에 속하고, 잎은 음에 속합니다. 동물성과 식물성이 어우러진 김치는 그 자체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배추김치와 함께 총각김치를 담아서 먹음으로써 음양의 조화가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치에는 우리 선조들이 음양의 조화를 추구했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배추는 ‘채소의 왕’이라는 뜻으로 채중지왕菜中之王, ‘백 가지 채소 중 배추보다 더 좋은 채소는 없다.’고 하여 백채불여백채百菜不如白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배추를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김치의 재료보다 질병 치료에 더 널리 쓰였습니다.


배추는 맛이 달고 기운은 약간 차갑습니다(성미미감량性味味甘凉). 배추의 성질이 음의 차가운 기운을 띠는 것은 그 모양에서 알 수 있습니다. 배추는 잎에 주름이 많습니다. 수축하는 건 음의 성질입니다. 그래서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배추는 능히 막힌 위장의 기운을 통하게 하고, 가슴의 답답함을 다스리며, 술로 인한 독을 푼다(백채능통리위장白菜能通利胃腸 제흉중번除胸中煩 해주독解酒毒).”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백채흘반년白菜吃半年 대부향청한大夫享清閑’이라고 했습니다. “사람들이 배추를 반년 동안 즐겨 먹으면 의사들은 할 일이 없어져서 하릴없어 놀게 된다.”는 뜻입니다. 무도 약재로 사용합니다. 무의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달고 맵습니다. 무의 성질이 양의 따뜻한 기운을 띠는 것은 그 모양에서 알 수 있습니다. 사물의 형태를 오행으로 분류할 때 길쭉한 것은 목형木形에 배속합니다. 그러므로 무의 길쭉한 모양에서 무가 양의 성질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무에는 녹말 분해효소인 디아스타제Diastase가 들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예로부터 체했을 때, 식중독일 때 무를 먹기도 했습니다(소식제창消食諸脹). 또한 기氣를 내리고 담痰을 삭히기 때문에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많을 때에도 좋은 음식입니다(강기화담降氣化痰). 무씨(나복자萊葍子)에도 이러한 효과가 있어서 한약 재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음의 성질인 배추와 양의 성질인 무를 김치로 만들어 먹음으로써 음식 궁합의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


천지인 합일 사상이 담긴 한옥


원방각으로 지은 한옥

집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보금자리입니다. 인류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환경에 맞게 집을 지어 왔습니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주로 흙과 나무를 소재로 집을 짓고, 서양에서는 흙과 돌을 소재로 집을 지었습니다. 특히 유사한 환경에 살면서 문화를 교류해 온 한중일韓中日 삼국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주거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중국 화북 지역에서는 황하 유역의 고운 흙으로 벽돌을 만들어서 집을 지었습니다. 일본에 서는 풍부한 나무를 재단해서 집을 지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그 사이를 흙으로 채워서 집을 지었습니다.


김상일 교수는 한옥의 독특한 특징으로 원방각圓方角을 들고 있습니다. 땅을 상징하는 건물의 터는 방方(□)을, 하늘을 상징하는 건물 지붕은 원圓(○)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우리 한옥에는 서양뿐만 아니라 일본이나 중국에는 없는 사람을 상징하는 각角(△)이 있는데, 이를 갈모산방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한옥은 천지인 합일 정신의 발로라고 합니다.*3)


*3) 갈모산방은 팔작지붕의 추녀 양옆에 위치한 도리 위에 선자서까래나 말굽서까래를 걸기 위하여 얹는 삼각형 부재로, 귀솟음과 더불어 추녀의 앙곡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옥에서 천원지방의 우주관을 엿볼 수 있는 사례가 또 있습니다. 한옥은 네모난 기둥과 원기둥을 사용합니다. 조선 시대에는 민가나 규모가 작은 건물에는 방형 기둥을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궁궐이나 사찰 등에는 원형 기둥을 사용했습니다.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것이 도리이고 사각 형태의 도리를 납도리라 하는데 주로 민가에서 썼으며, 형태가 둥근 굴도리는 양반가의 가옥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또 다른 예는 경복궁 내 전각 중 단일 규모로는 가장 큰 경회루慶會樓의 돌기둥 형태가 바깥 기둥은 땅을 상징하여 방주方柱이고, 안쪽 기둥은 하늘을 상징하여 둥근 원주圓柱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 한태일, 『주역 이야기』 132쪽


🌌땅으로 내려온 팔각전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우주관은 한옥의 형태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집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사람이 사는 집의 형태는 땅을 본받아 사각형입니다. 그에 비해 신을 모시는 집의 형태는 하늘을 본받아 원형입니다. 원형의 집은 중국 베이징北京시 천단에 있는 기년전祈年殿이 대표적입니다. 명대에서 청대까지 황제가 황천상제皇天上帝를 모시고 풍년을 기원(기곡祈穀)하는 천제를 올렸습니다.




그러나 원형의 건물을 짓는 것은 지금도 고난도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그래서 팔각전八角殿이 이를 대신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윈난성雲南省 쿤밍시昆明市에서 가장 큰 사찰인 원통사圓通寺에는 천수관음상을 모신 팔각전八角殿이 있습니다.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시成都市에 위치한 청양궁青羊宫에는 노자의 화신인 태상노군太上老君을 모신 팔괘정八掛亭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팔각형은 신을 모시는 건물에 사용되었습니다. 2003년,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탄생 설화를 간직한 경주 나정羅井 주위에서 팔각형 기단의 건물터가 발굴되었습니다. 본래 원형이었던 것을 팔각형으로 개축한 것으로, 5~6세기 통일신라기에 조성된 신라 최고의 제사 시설인 신궁神宮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팔각전은 원구단의 황궁우皇穹宇가 유일합니다. 1897년 고종 황제는 원구단圜丘壇에서 대한제국의 수립을 선포하고 황천상제님께 천제를 올렸습니다. 지금은 일제에 의해 원구단은 허물어지고 황천상제의 위패를 모신 황궁우만 남아 있습니다.




청양궁의 팔괘정에서 보듯이 팔각은 팔괘八卦와 관련이 있습니다. 팔괘를 원형으로 배치한 것을 팔괘도라고 합니다. 팔괘도에는 선천 봄철의 생역도生易圖인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 선천 여름철의 장역도長易圖인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 후천 가을철의 성역도成易圖인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가 있습니다.




팔괘도의 중앙은 순수 생명 에너지가 생성되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고, 팔방위는 만물을 변화시키는 우주 생명력이 천지에 퍼져 나가는 문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8은 불멸과 신선을 상징하는 생명 수數’로 여겨졌습니다. 8은 태양의 광명을 상징하는 숫자로도 사용되었습니다.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櫛文土器)는 빗살 모양의 무늬가 바깥 표면에 새겨져 있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빗살무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불분명합니다. 그런데 태양신 숭배와 관련지어 햇살을 형상화한 문양이라는 의견이 있어 주목됩니다. 실제 빗살무늬토기를 거꾸로 놓고 보면 여덟 개의 햇살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300년 전 동이족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중국 안후이성安徽省 함산含山 고분에서 발견된 유물도 거꾸로 놓고 보면 세 개의 동심원과 여덟 개의 햇살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햇살 무늬는 고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청동거울에서 팔각의 문양과 함께 발견됩니다. 태양을 상징하는 청동거울에서 팔방위로 광명의 빛이 뻗어 나가는 모습입니다.*4)


제정일치 시대에 제사장이자 통지자였던 임금은 청동거울을 가슴에 달고 밝은 빛으로 세상을 다스리고자 했습니다(광명이세光明理世).


*4) 청동거울의 삼각형을 구름, 빗살을 비[雨]로 보기도 한다.


그런데 필자는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을 팔각전八角殿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한옥이 팔각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팔각전이 본래의 기능과 다르게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팔각전에 관한 최초 기록은 『고려사高麗史』에 실린 고려 말기의 건립 기록입니다.


공민왕 22년(1373년) 계축년 6월, 이현에 화원을 조성하고 2층으로 된 팔각전을 지었다. 주위에 꽃과 나무를 심어 잔치와 놀이판을 벌일 장소를 마련했다(是月 作花園二層八角殿於泥峴 周植花木以備宴遊).

- 『고려사高麗史』


궁중 화원에 건립한 팔각전에서 연회나제사 관련 행사, 외교 행사를 거행한 것으로 보이나 확실치는 않습니다. 하지만 팔각전을 신전 외의 용도로 사용한 전통은 후대로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공원이나 쉼터 등에 가 보면 팔각전에서 유래한 팔각정八角亭을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을 모시던 성스런 팔각전이 인간이 노니는 세속의 팔각정으로 내려온 것입니다.


하늘의 원圓은 신神의 도형이고, 땅의 방方은 사람의 도형입니다. 그리고 팔각은 원과 방의 중간 도형으로, 이곳에서 신과 인간이 만나 하나가 됩니다(신인합일神人合一). 전국 방방곡곡에 팔각정을 세운 것은 간방艮方 한반도가 신선과 인간이 함께 사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이란 걸 의미하는 건 아닐까요?


‘팔각정에 성이 속이 되고, 속이 성이 되어 성속聖俗이 합일한 모습이 담겨 있다.’는 것이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겁니다.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문화정보(포스트) 128개(1/13페이지)
환단고기가 처음 밝혀 주는 역사 진실(2) [대한사관의 진실]
한국의 역사문화 2024.08.05 | 조회 1007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과 병법
한국의 역사문화 2024.05.28 | 조회 1606
이순신리더십병법명량한산노량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충효 정신
한국의 역사문화 2024.05.15 | 조회 1507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한국인의 통과 의례, 관혼상제
한국의 역사문화 2023.09.25 | 조회 3645
관혼상제冠婚喪祭성년식관례혼례
한류의 원형 찾기 - 일본 큐슈 답사기2 백제꽃
한국의 역사문화 2023.08.31 | 조회 2891
한류의 원형 찾기- 일본 큐슈 답사기1 묘견궁
한국의 역사문화 2023.08.28 | 조회 2941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사람의 일생
한국의 역사문화 2023.08.21 | 조회 2708
사람들은 왜 K-POP에 열광할까?
한국의 역사문화 2023.08.12 | 조회 2972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세계로 뻗아가는 한류
한국의 역사문화 2023.06.30 | 조회 4514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8)
한국의 역사문화 2023.05.09 | 조회 3718
선인도랑소도조의선인참전계경
처음페이지이전 5 페이지12345다음 5 페이지마지막페이지
삼랑대학
STB동방신선학교
세종문고 쇼핑몰
증산도 공식홈 안드로이드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