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 김덕기
들어가는 말
사람의 일생을 기념하는 대표적인 문화는 관혼상제冠婚喪祭입니다. 그중에서 성인식에 해당하는 관례와 결혼하는 혼례, 돌아가신 분에 관한 상례는 전 세계 공통입니다. 지금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관례와 제례는 축소되는 데 반해, 혼례와 상례는 사업화되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관혼상제에 담긴 문화를 알아보겠습니다.
압축 성장과 수명 연장
📈 대한민국 경제의 압축 성장
‘역사에는 지름길은 있어도 결코 비약은 없다.’(남경태,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고 합니다. 서양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약 천 년 동안 중세 암흑기(476~1453년)를 맞았습니다. 오로지 기독교 신학을 바탕으로 삶을 영위하던 그들을 깨운 건 최대의 적이었던 오스만 제국이었습니다.
1453년 오스만 제국이 동로마 제국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자 그리스 로마 문화를 간직해 온 수많은 학자들이 서유럽으로 대거 망명했습니다. 이로써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르네상스(14~16세기)를 꽃피우며 서양의 중세가 막을 내리게 됩니다. 여기에 더해 오스만 제국이 동지중해를 통한 동방 무역을 차단하면서 유럽의 대항해 시대를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후 서양은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던 시기에 과학 혁명을 통해 자연에 대한 새로운 탐구를 시작했습니다.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에는 산업 혁명을 통해 사회와 경제에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영국의 청교도 혁명과 프랑스 대혁명 등을 통해 봉건 사회에서 근대 국민국가로 나아갔습니다. 근 500년에 걸쳐 과학화와 산업화, 민주화를 이룬 것입니다.
그런데 서양이 500년 동안 이룬 걸 우리나라는 단 50년 동안 압축 성장을 통해 따라잡았습니다. 6.25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에서 한국인은 맨몸으로 일어서야 했습니다. 1950년대에는 미국의 원조를 받아 생활했지만, 원조가 줄어들면서 스스로 살 방법을 궁리해야 했습니다.
박정희 정부가 들어선 후 1960년대에 새마을 운동과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습니다. 그 결과 국민의 희생과 노력으로 30년 만에 수백 배의 경제 성장을 이루는 ‘한강의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그로 인한 부작용도 많이 일어났습니다. 정부가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임금을 적게 주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노동자들은 적은 임금으로 힘겨운 생활을 이어 나갔습니다.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도 커져만 갔습니다.
그러자 시민들은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쟁취하고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했습니다. 4.19 혁명, 부마 민주화 운동, 6월 항쟁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현대사는 민주주의를 쟁취하고자 투쟁한 시련의 역사였습니다.
지금 전 세계의 개발도상국들은 ‘대한민국의 기적’을 모델로 삼아서 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급속한 성장은 농작물에 비료를 많이 준 것과 같습니다. 벼에 비료를 많이 주면 키가 웃자라게 됩니다. 그러면 줄기가 약하기 때문에 바람이 조금만 강하게 불어도 줄기가 꺾여 쓰러져 버립니다. 우리나라도 압축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경제라는 몸집은 커졌지만, 그 내용물인 민주화와 국민 의식이 따라잡지 못해서 아직도 성장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평균 수명과 사람의 일생
그런데 ‘역사의 발전에 비약이 없는 것처럼, 인간의 삶에도 비약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1800년 무렵 조선 시대에 백성들의 평균 수명은 35세였습니다. 그러나 현대인의 평균 수명은 1970년에 남녀 평균 62.3세였고, 2020년에는 83.5 세로 50년 동안 약 20세가 증가했습니다. 소득 증가와 공공 보건 의료 제도의 발달로 영아 사망을 크게 줄였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일생은 탄생과 성장을 거쳐 사회활동을 하고 죽음에 이르는 생장염장生長斂藏의 과정을 거칩니다. 계절로는 봄에 해당하는 유소년기와 여름에 해당하는 청년기, 가을에 해당하는 장년기, 겨울에 해당하는 노년기를 거칩니다. 통과 의례로는 돌과 관혼상례冠婚喪禮의 과정을 통과합니다. 그러므로 조선 시대에 평균 수명이 35세였다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35년 동안 압축적으로 거쳤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리고 평균 수명이 62.3세라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62.3년 동안 거쳤다는 걸 의미합니다.
단, 경제의 압축 성장과 인생의 압축은 다른 점이 있습니다. 경제의 압축 성장은 경제라는 몸집이 갑자기 커진 데 비해, 시민의 의식 성숙은 더딥니다. 이에 반해 ‘사람의 인생이 압축되면, 정신도 그만큼 압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평균 수명 36세를 생장염장의 네 단계로 나누면 9세까지는 유소년기, 18세까지는 청년기, 27세까지는 장년기, 36세까지는 노년기의 생각과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지금의 80세를 기준으로 보면 20세까지는 유소년기, 40세까지는 청년기, 60세까지는 장년기, 80세까지는 노년기의 생각과 행동을 합니다. 평균 수명이 60세였을 때 20세가 하던 행동을 요즘의 30~40세가 하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즉 수명이 길어지면서 철도 늦게 드는 것입니다.
삶의 여유가 생기고 먹거리가 풍부해지면서 평균 키도 커졌습니다. 2000년 기준으로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자 172.5cm, 여자 159.6cm였습니다. 1979년보다 남자 키는 6.4cm가 더 커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사람의 몸이 수명 연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09∼2011년의 자료를 연구한 결과, 국내 청소년 10명 중 8명이 ‘비타민 D 결핍으로 골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작물에 비료를 많이 주면 웃자라서 줄기가 약해지는 것처럼, 사람도 고영양을 섭취해서 웃자랐지만 뼈가 약해진 것입니다.
더 큰 문제는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결혼 적령기도 늦어지고 있지만, 임신이 가능한 여성의 최고 나이는 40대 초반까지로 바뀌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수명 연장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신의 성숙과 더불어 생리 변화 주기도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석가모니께서는 후천 가을철이 되어 지구에 용화 세계가 펼쳐지면 “여자는 500세가 된 연후에 시집을 가느니라.”(『미륵하생경』)라고 하였습니다. 비록 과장된 표현은 있을지라도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는 만큼, 삶과 신체의 변화 주기도 그에 맞춰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의 일생을 기념하는 관혼상제
옛 성현들은 통과 의례인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사례四禮라고 하여 대단히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통과 의례를 행하는 시간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사회에서 어른으로 대접받는 성인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고, 결혼하는 적령기도 늦춰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어나는 건 순서가 있어도, 돌아가는 건 순서가 없다.’는 말처럼 상례와는 무관합니다.
태모 고 수부님께서는 “삼신은 낳고 칠성은 기르느니라.”(도전道典 11:240:10)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대로 우리 조상들은 ‘삼신三神(삼신할머니)은 아이의 잉태와 해산을 관장하고 7세 이전까지의 성장을 돌봐 주는 보호신 역할을 하며, 그 이후로는 칠성七星이 주관한다.’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관혼상제를 행할 때는 북두칠성을 비롯한 열수列宿에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치성을 올렸습니다.
🙏성인으로 인정받는 성년식
요즘 모험을 즐기는 사람들이 도전하는 레포츠 중 하나가, 고무로 만든 긴 줄의 한쪽 끝을 발목이나 몸통에 묶고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번지 점프Bungee Jump입니다. 번지 점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바누아투의 로만데콘족의 성인식인 난골Nanggol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성인식은 칡넝쿨을 몸에 묶고 20~30m 높이의 나무 탑에서 뛰어내려 진흙으로 된 땅에 머리를 부딪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진정한 남성이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목적도 있지만, 남성의 머리가 땅에 부딪히면 농사가 풍년이 된다는 믿음 때문이라고 합니다.*1)
*1) 「위키백과」 ‘번지 점프’ 참고
우리나라에서도 성인식은 성년식成年式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졌습니다. 그런데 양반兩班과 상민常民의 성년식은 그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상민의 성년식에서는 외줄 새끼에 매달리기, 산 정상에 있는 낭떠러지 건너뛰기, 무거운 바위 들기 등을 통해 성인이 갖추어야 할 힘과 담력, 용기와 인내 등을 시험했습니다.
성년식을 치르고서 성인으로 대접받으면 품삯이 오르고, 호칭도 생원⋅주사 등 경칭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시련을 이겨 내지 못하거나, 너무 가난하여 참례 음식을 장만하지 못하면 늙어서도 아이 취급을 받았습니다.*2)
*2) 「한국인의 통과의례, 관혼상제」참고
사대부가士大夫家에서 행한 관례冠禮는 남자아이가 어른이 되었음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의례입니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에서 행해진 관례의 절차는 대체로 ‘택일擇日-준비準備-시가례始加禮-재가례再加禮-삼가례三加禮-초례醮禮-자관자례字冠者禮-현우사당見于祠堂’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삼가三加는 세 번에 걸쳐 성인의 예복으로 갈아입히고 상투를 튼 후에 관과 갓을 쓰는 의식입니다. 여자의 성년식은 계례筓禮라고 하여 쪽을 틀고 비녀를 꽂았습니다. 어른과 동일한 복식을 착용하고 이름도 새로운 이름(자字)을 부여받았는데, 육체적 성숙과 함께 정신세계도 어른과 같이 성숙시키고자 하는 뜻이 들어있습니다.
그런데 남자와 여자의 머리 모양인 상투와 쪽에서 전통문화에 담긴 음양의 원리를 엿볼 수 있습니다. 상투는 머리 모양을 수직으로 해서 틀고, 쪽은 수평으로 해서 짓습니다. 머리를 고정할 때도 남자는 동곳을 수직으로 꽂고, 여자는 비녀를 수평으로 꽂습니다. 수직은 양을 의미하고, 수평은 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양인 남자는 머리 모양을 수직으로 해서 상투를 틀고, 음인 여자는 수평으로 해서 쪽을 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례는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성숙한 사춘기 남녀가 생리적인 전환기에서 어른이 되었음을 사회적으로 승인하는 의식입니다. 관례를 행하는 시기는 15세부터 20세까지입니다. 수명을 60세로 보았을 때, 15세는 유소년기에서 청년기로 넘어가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만 15세를 성인의 기준으로 삼아서, 남자들은 누구나 오늘날의 주민등록증에 해당하는 호패號牌를 차고 다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수명이 80세로 늘어나서 성인으로 인정받는 성년 기준 나이도 만 19세(2013년 7월 이후)로 늦춰졌습니다.
💑관례와 혼례에서 행한 초례
- 천지신명께 술을 올리는 초례
초례醮禮는 관례와 계례를 하는 사람이 삼가례 후에 남쪽을 향해 꿇어앉아서 술을 마시는 예식으로 내초乃醮라고도 합니다. 초란 천지신명에게 올리는 술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초례란 천지신명에게 술을 올리며 어른으로서의 서약을 하는 일종의 제사 의식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례를 초제醮祭라고도 합니다.
〈 내초 의식에서 주례자가 북향하여 읽는 축문(초사醮辭) 〉
맛있는 술이 이미 맑아졌으니 좋은 안주와 향기로운 술을 절하고 받아 제사 지내어 너의 상서로움을 안정시키고 하늘의 경사를 이어 오래 살며 잊지 말라.(旨酒旣淸 嘉薦令芳 拜受祭之 以定爾祥 承天之休 壽考不忘) - 『주자가례朱子家禮』
초례는 전통 혼례에서도 행해졌습니다. 신랑과 신부가 처음 만나 절하고(교배례交拜禮) 서로 합환주를 마시는(합근례合巹禮) 예식을 초례라고 하며, 예식을 치르는 곳을 초례청醮禮廳이라고 합니다. #결혼식 자체가 천지신명에게 술을 올리고 인생의 첫출발을 축원하는 종교 의례#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초례상醮禮床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음양의 화합을 상징하는 청색⋅홍색의 촛대, 솔가지와 대나무, 수탉과 암탉, 밤과 대추, 붉은 팥과 검은콩 등으로 차렸습니다. 그리고 음양의 원리에 따라 신랑은 양의 방위인 동쪽에 서고, 신부는 음의 방위인 서쪽에 서서 예식을 행하였습니다.
- 초례의 대상
성신星辰의 아래에서 밤중에 술과 포脯를 진설하고, 공물을 올려 천황天皇과 태일太一과 오성五星과 열수列宿에 차례로 제사하여, 상장上章의 의儀와 같이 글을 써서 아뢰는 것을 이름하여 초醮라고 한다.(夜中於星辰之下 陳設酒脯 䴵餌幣物 歷祀天皇太一 祀五星列宿 爲書如上章之儀 以奏之 名之爲醮) -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
본래 초례는 하늘의 오성五星과 열수列宿를 향해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도교의 제천 의식입니다. 그 숭배 대상은 구체적으로 천황天皇과 태일太一을 비롯한 성신星辰입니다. 그런데 성신 가운데서도 북두칠성北斗七星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북두칠성은 북극성北極星을 회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8수宿가 북두로써 중심을 삼기 때문에 뭇별의 왕으로 인식되었습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북두칠성을 천제天帝(상제上帝)가 계신 곳이라고 여겼습니다. 이러한 북두칠성에 대한 숭배는 북두진군北斗眞君, 혹은 ‘칠성님’으로 신격화되었습니다.
또한 북두칠성은 중앙에 거주하면서 사방을 순유巡遊하고 생사와 축복을 관장하는 존재로,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공과 및 선악을 조사한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백 가지 사악한 것과 흉한 기운을 없애고자 하는 염원을 이루고 팔난八難을 극복하며 장생불로하기 위해 북두칠성에 기원하고 예배하는 초례를 행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이른 새벽에 정화수를 떠 놓고 칠성님과 천지신명께 기도를 올린 것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성년식을 하면서 상투를 틀고, 쪽을 지은 것도 초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두上斗는 북두北斗니 칠성七星이니라.”(도전道典 6:56:6)라고 하신 상제님 말씀처럼 상투는 북두칠성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즉 상투와 쪽을 틀어서 칠성님께 예를 올리고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고자 한 것입니다.
그러나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민간에서 행하는 관혼상제 등의 초례에 대해서는 관대했지만, 국가적인 초례 행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그 결과 임진왜란 이후에는 초제를 관장하던 국가 관서인 소격서昭格署를 폐지하였습니다. 스스로 중국의 제후국임을 자처하며 ‘천자는 천지에 제사를 지내고 제후는 사직에 제사를 드린다(天子祭天地 諸侯祭社稷).’(『예기』)는 성리학의 명분을 따랐기 때문입니다.
🔲죽음의 예식, 상례喪禮
만물은 태어나면 죽게 마련입니다. 탄생이 성스러운 일이듯, 죽음도 성스러운 일입니다. 특히 돌아가신 분을 정중히 모시며 가는 길을 함께하는 예식은 세계 공통의 현상입니다. 그런데 음양오행의 원리가 문화로 승화된 것을 상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음양陰陽 문화로는 삶의 공간을 양의 세상인 이승과 음의 세상인 저승으로 나눈 것이 대표적입니다.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죽음을 단순히 인간의 생물학적인 활동의 정지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이 현세現世에서 타계他界로 옮겨 간다고 믿었습니다. 사람이 죽었을 때 ‘돌아가셨다.’고 하는 것도 이런 관념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람이 죽으면 양에 속하는 혼은 본래 왔던 하늘로 돌아가고, 음에 속하는 넋은 땅으로 돌아간다.’고 하여 ‘혼비백산魂飛魄散’이라고 합니다.
삼재三才 문화로는 초혼招魂할 때 반드시 세 번 불러야 하고, 3일에 걸쳐 시신 처리를 하며, 3일이 지나야 죽음을 인정했습니다. 이렇게 세 단계를 거쳐야 고인이 조상신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죽은 이를 데려가는 저승사자에게 주는 사잣밥도 삼재 문화로 가득합니다. 저승사자는 보통 세 명이라 하여 사자상은 밥 세 그릇, 무나물 세 그릇, 저승길 갈 때 신으라고 흰 종이를 섞어 만든 짚신 세 켤레, 노잣돈으로 동전 세 닢을 베 위에 놓고, 정화수井華水 한 그릇을 차린 다음 대문 옆에 놓았습니다.
오행五行 문화로는 장례법이 있습니다.
■[목장木葬] 풍장風葬은 시신을 지상이나 나무 위, 암반 등과 같은 곳에 올려놓고 비바람을 맞으면서 부패시킨 후에 뼈를 추려서 매장하는 장례법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장례법인 ‘초분草墳’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바람은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하므로, 풍장은 목장木葬에 속합니다.
■[화장火葬] 불교의 다비茶毘는 시신을 화장火葬하는 종교 의례입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통일신라 시대에 불교의 영향으로 ‘문무왕을 비롯하여 효성왕, 선덕왕, 원성왕 등을 화장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 인구 증가와 조상을 모시는 문화의 변화로 화장이 다시 성행하고 있습니다.
■[토장土葬] 시신을 땅에 매장하는 장례법은 토장土葬입니다. 구석기 시대 이래 지금까지 인류가 행해 온 가장 보편적인 묘제 중 하나입니다.
■[금장金葬] 조장鳥葬은 독수리나 매 등의 육식 조류에 사체를 처리시키는 장례법으로 티베트인과 서인도에 사는 조로아스터교도 파르시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조장은 하늘을 신성시하는 장례법으로 천장天葬이라고도 합니다. 문왕팔괘도를 오행으로 배속할 때 하늘을 의미하는 건괘乾卦는 양금陽金에 배속합니다. 그러므로 조장은 금장金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장水葬] 시체를 강이나 바다에 장사 지내는 장례법은 수장水葬입니다. 태평양 동부 폴리네시아Polynesia 지역에서는 수장을 명예로운 장례법으로 여겨 통나무배와 함께 바다에 가라앉히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항해 중에 사망자가 발생하면 선장의 직권으로 수장하는 예가 많이 있고, 한국에서도 선원법 제17조에 이에 관한 규정을 명시하였습니다.*3)
*3) 화장한 유골을 나무 밑에 묻는 수목장樹木葬은 목장과 화장, 토장이 혼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례에 나타난 칠성七星 문화로는 칠성판七星板이 있습니다. 칠성판은 시체를 관에 넣기 전에 임시로 시체를 얹어 놓는 널, 또는 시신을 관에 넣을 때 시신을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에 까는 송판입니다. 북두칠성을 본뜬 일곱 개의 구멍을 뚫었기 때문에 칠성판이라고 합니다. 이익李瀷(1681~1763)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칠성판에 북두칠성 모양의 구멍을 뚫는 이유는 죽음을 관장하는 북두신군北斗神君에게 빌어 죽음을 구제받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청동기 시대에 단군조선에서는 고인돌 뚜껑 위에 북두칠성을 새겨 넣었습니다. 고구려에서는 이를 본받아 무덤 속에 북두칠성을 그려 넣었습니다. 이러한 풍습이 조선 시대에 이르러 칠성판으로 그 모습이 변형되어 나타난 것입니다.*4)
*4) 「한국일생의례사전」 ‘칠성판’ 참고
조상의 은혜를 기리는 제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를 제례祭禮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천지天地⋅일월성신日月星辰을 비롯해서 풍사風師⋅우사雨師⋅사직社稷⋅산악山岳⋅강천江川, 그리고 선왕先王⋅선조先祖⋅선사先師를 대상으로 제사를 지내 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제사가 선조에 대한 의례를 가리키는 것으로만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유교가 정착함에 따라 조상 외에 대부분의 제사 대상이 그 의미를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제례는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근본에 보답하고자 하는 정성의 표시입니다. 그중에서 기일제忌日祭는 4대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로 기제사忌祭祀라고 합니다.*5)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례’ 참고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魄)이 있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귀鬼가 되느니라.
(증산도 도전道典 2:118:2~4)
제례에도 음양 문화가 많이 있지만, 제례 절차 중 하나인 강신降神이 특기할 만합니다. 강신은 하늘과 땅에서 조상의 혼백魂魄을 인도하는 의식입니다. 증산 상제님 말씀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이 죽으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이 되고, 백(넋)은 땅으로 돌아가 귀가 됩니다.
그래서 제주祭主는 먼저 신위 전에 나아가 하늘에서 혼魂을 모시기 위해 향을 사르고 분향 재배를 합니다. 이어서 땅에서 백魄을 모셔 오기 위해 술을 따라 모래를 담은 모사기茅沙器에 붓습니다. 그런 이후에 ‘하늘과 땅에서 혼백이 모두 오셨다.’고 하며 참례자가 강신 재배를 합니다. 제례에서 술을 따르는 행위도, 관례와 혼례처럼 칠성님과 천지신명께 제사를 드리는 초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조상의 묘소에 가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墓祭가 있습니다. 시제時祭라고도 하며 3월과 10월에 지냅니다. 명절에 성묘省墓를 하는 것도 묘제의 일종입니다. 묘제를 지낼 때는 후토신后土神에게 제사 지낼 곳을 조상의 묘 왼편에 함께 마련합니다. 그러고 나서 조상님께 먼저 제사를 지내고, 이어서 후토제를 지냅니다. 후토씨는 땅을 주재하는 토지신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사직단社稷壇에서 토지신인 후토신后土神과 곡물신인 후직신后稷神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러므로 기제는 민간에서 천신과 조상님의 혼(신)을 대상으로 올리는 천제天祭라고 할 수 있고, 묘제는 지신과 조상님의 백(귀)을 대상으로 드리는 지제地祭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머리카락은 천지와 소통하는 안테나인가?
모발毛髮은 인체를 덮고 있는 모든 털을 지칭합니다. 모발은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인체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체온 조절을 돕고, 피부의 마찰을 줄이며, 중금속을 배출하는 기능도 합니다. 또한 그에 못지않게 심미적인 기능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모발이 건강하게 생장하기 위한 조건으로 선천적 요인과 호르몬 대사 등을 포괄하는 개념인 신기腎氣와 혈액 순환, 이를 통한 영양 공급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내경』에 “신腎은 머리카락을 주관한다. 또한 신은 뼈와 연관이 있는데 그의 상태는 머리카락에 나타난다.”고 씌어 있다. “머리카락은 혈血의 여분이다.” (內經曰 腎主髮 又曰 腎之合骨也 其榮髮也 髮者血之餘) - 『동의보감』
그런데 사람은 여러모로 특이한 존재입니다. 몸의 털은 거의 사라지고, 대신 두피에 몰려 있어 이를 따로 머리카락이라고 부릅니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된 이유를 기후변화에서 찾고 있습니다. 동아프리카의 날씨가 덥고 건조해지면서 체온 유지를 위해 머리카락을 제외한 몸의 털이 사라지고 땀샘이 발달하는 쪽으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가설에 불과하므로 또 다른 설명을 찾아볼 수밖에 없습니다.
흔히 스타일의 완성은 헤어스타일이라고 할 정도로 머리카락의 형태는 다양합니다.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베냐민Walter Benjamin(1892~1940)은 패션이 가진 페티시즘fetishism 현상을 추적하다가 ‘머리카락은 인간 최초의 옷이자 최후의 옷’이라는 흥미로운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6) 그래서인지 머리카락을 둘러싼 습속과 신앙, 전설이 세계 각지에 남아 있습니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머리카락이 머리나 그 사람을 대표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죽은 아이의 머리카락이나 연인의 머리카락, 전쟁터로 떠난 아들의 머리카락 등을 함에 넣고 지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문화권에서 정복자가 전쟁에서 피정복민의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패배를 인정하는 굴욕적인 행위로 여겼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머리를 소중히 여기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1895년에 조선 조정에서 단발령을 내렸을 때, 많은 선비들이 ‘손발은 자를지언정 두발頭髮을 자를 수는 없다.’고 분개하며 완강하게 반대하였습니다.
*6) 유경희, 『몸으로 본 서양미술사』 참고
머리카락은 죽음 뒤에도 일정 기간 계속해서 더 자라기 때문에 힘과 권위,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구약성서』 「사사기」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장사壯士 삼손Samson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삼손의 머리카락에 괴력의 비밀이 있다.’는 걸 안 델릴라Delilah는 삼손을 잠들게 하고 무장한 블레셋인에게 머리카락을 자르게 했습니다.
그들은 힘이 사라진 삼손의 눈을 파내고 청동 사슬로 묶어 감옥에서 연자방아를 돌리게 했습니다. 그러나 옥중에서 다시 머리카락이 자라 괴력을 되찾은 삼손은 다곤 신전 중앙의 기둥을 뽑아내어 블레셋인들과 함께 죽었습니다.
머리카락은 또한 건강과 행운, 장수 등 길조를 상징합니다. 중국 광시좡족廣西壯族 자치구에는 ‘세상에서 가장 머리가 긴 마을’이라는 뜻의 천하장발제1촌天下長髮第1村이 있습니다. 이곳에 사는 야오족(요족瑤族) 여인들은 검고 긴 머리카락을 유지하는 전통을 갖고 있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머리카락을 기르다가 일생에 단 한 번 18세 성인절이 되면 자르고, 그 이후에는 죽을 때까지 자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야오족 처녀들은 검은 천으로 머리를 감싸서 다른 사람에게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결혼한 후에야 남편에게 처음으로 머리카락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또 한 가지 특징은 머리카락이 여든의 나이가 될 때까지 검은 채로 유지되고, 머리 모양에 따라 결혼 여부나 자식의 유무, 신분 등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그녀들이 평생토록 머리를 기르는 이유는 ‘길고 검은 머리카락이 울창한 숲과 같다고 여겨서 숲이 무성하면 각종 동식물과 열매가 풍성하듯이, 머리카락이 길면 길수록 수명이 길어지고 자손이 번창하며 부귀영화를 비롯한 만복이 깃든다.’고 믿기 때문입니다.*7)
*7) 「인류 원형 탐험」 “긴 머리의 여인들, 중국 야오족” 참고
머리카락은 신체 부위 중에서 가장 무거운 두개골과 중요한 뇌를 보호하는 갑옷의 역할을 합니다. 고대 부족 사회에선 신체의 가장 윗부분에 있는 머리카락이 정신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여겨 머리카락이 곧 영혼이며 신이 자리하는 곳이라 믿었습니다.
- EBS 다큐멘터리 〈인류 원형 탐험〉 “긴 머리의 여인들, 중국 야오족”
그런데 필자가 주목하는 점은 ‘머리카락이 인간의 감각 능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신경계의 연장’이라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민족마다 머리 모양이 달랐습니다. 신념과 전통에 따라 머리 모양을 달리한 것입니다. 그럼에도 대부분 머리카락이 길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천둥의 신 토르Thor의 아내 시프Sif는 아름답고 긴 황금빛 머릿결로 유명했습니다. 신화와 동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여주인공들은 한결같이 여성성을 상징하는 긴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회에서 ‘머리카락이 마법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영화 〈라푼젤(Tangled)〉에 등장하는 주인공 라푼젤Rapunzel의 머리카락은 치유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북미 원주민인 크리Cree족은 ‘머리카락은 영혼의 연장이며, 머리 모양은 영혼의 개성을 나타낸다.’고 믿었습니다.
한편 ‘긴 머리카락이 북미 원주민에게 고양이 수염처럼 안테나 역할을 하는 특정 감각 능력을 준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코드 토커Code Talker 또는 윈드 토커Wind Talker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군 소속의 암호통신병입니다. 대부분 촉토Choctaw족과 나바호Navajo족으로 구성됐는데, 그들의 초자연적인 탐색 능력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전장에서는 그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머리카락을 짧게 잘랐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제시된 이론이 ‘고양이가 먹이를 찾을 때 수염이 그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처럼, 인디언의 긴 머리카락도 신경계의 확장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우리 몸의 털은 피부의 촉각을 담당하는 수용체와 연결되어 날씨를 느끼게 하고, 위험에 처했을 때 이를 알리는 경고 장치를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가 위험에 처했을 때 털이 곤두서면서 소름 끼치는 느낌이 드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이처럼 많은 부족에서 ‘긴 머리카락은 자아의 확장이자 생각의 물리적 표현’이었습니다. 지금도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거나 밀어 버리는 것은 영적, 심리적, 의학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8)
*8) 「미스테리우스」 “헤어스타일에 따라 잠재력은 변하는 것인가” 참고
머리카락은 신경계의 연장이라 할 수 있다. 뇌줄기, 대뇌변연계, 신피질에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전달해 주는 고도로 진화된 일종의 안테나인 셈이다. 인체의 머리카락(남성의 수염 포함)은 뇌로 정보를 전달하는 고속도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뇌에서 전송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외부로 발산하는 구실도 한다.
(Hair is an extension of the nervous system, it can be correctly seen as exteriorized nerves, a type of highly-evolved ‘feelers’ or ‘antennae’ that transmit vast amounts of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brainstem, the limbic system, and the neocortex. Not only does hair in people, including facial hair in men, provide an information highway reaching the brain, hair also emits energy, the electromagnetic energy emitted by the brain into the outer environment.)
- C. Young, “Hair Is An Extension Of The Nervous System, Why Indians Keep Their Hair Long.” 2011.12.09.*9)
*9) ‘https://rense.com/general95/hair.htm’ 참고
머리카락이 정보를 전달해 주는 고도로 진화된 일종의 안테나이자, 뇌에서 전송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외부로 발산하는 구실을 한다면, 반대로 외부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도 하지 않을까요? 증산 상제님 말씀 중에 이와 관련한 내용이 있습니다. “상두上斗가 무엇인 줄 아느냐? 앞으로 네 번 돌리고 뒤로 세 번 돌리니 칠성七星이 응했느니라.”(도전道典 6:57:1~2)라고 하신 말씀으로, ‘우리 조상들이 하늘을 향해 틀어 올린 상투가 북두칠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말씀을 위의 내용을 통해 살펴보면 ‘상투는 칠성님께 초제를 올리는 종교적인 의미와 더불어,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고자 영혼의 안테나를 세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10)
*10) 히틀러와 관련한 음모론 중에, 그에게 큰 영향을 줬다는 ‘브릴 소사이어티 Vril Society’가 있다. 이곳에는 브릴리겐이라는 영적으로 뛰어난 여성 조직이 있었는데, 그녀들은 외계 종족과의 텔레파시 채널 통신을 위한 안테나 역할을 하기 위해 머리를 길게 유지했다고 한다.
그런데 북두칠성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류동수 자연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오는 ‘초고에너지 우주선(Ultra-High Energy Cosmic Ray)의 생성 원인’을 밝힌 가설로, 2019년 1월 2일에 미국 온라인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논문이 실렸습니다.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오는 입자 중에서 큰 에너지를 가진 것들을 ‘우주선(Cosmic Ray, 宇宙線)’이라고 부르며 이 중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가진 입자를 ‘초고에너지 우주선’이라고 한다.
…… 류동수 교수 연구진은 이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처녀자리 은하단 내 천체에서 생성된 후 상대적으로 가까운 북두칠성 은하단에서 튕겨 나왔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즉 처녀자리 은하단과 북두칠성 은하단은 은하 필라멘트(Filament of Galaxy : 가늘고 길게 나열된 공간적 분포)로 연결돼 있는데,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생성된 이후 은하 필라멘트를 따라 이동하다가 북두칠성 근처에서 지구로 왔다는 것이다.
- 「연합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로 오는 ‘초고에너지 입자’ 생성 가설 제시”, 2019. 01. 03
우리 조상들은 조선 조정이 강행하는 단발령斷髮令에 완강하게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의병을 일으켜서 정부 시책에 대항하기까지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그 이유를 ‘신체발부身體髮膚는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감히 훼상毁傷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라는 유교의 가르침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상투를 고수했던 근본적인 이유는 ‘칠성님께 천제를 올리며, 북두칠성의 지극한 기운을 받고자 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