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자 이기영(李箕永) ![]() ![]() 2011. 8. 12. 12:46 |
이기영(李箕永.1922.2.20∼1996.11.9)
불교학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 예과(豫科)를 졸업한 후 1954년부터 벨기에 루뱅가톨릭대학교에서 불교철학ㆍ인도철학을 공부하고 1960년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동국대학교 교수가 되어 불교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영남대학교 교양학부장,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국민대학 학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3부장을 역임했다.
1974년 한국불교연구원을 창립하고 1987년까지 원장을 맡아 다양한 대중강좌나 교육강좌를 통해 불교교리의 대중화에 앞장섰다. 1990~93년 불교방송국 이사, 한국불교재가회의 이사장, 법보신문 고문 등을 지냈다.
서울시문화상(19670, 국민훈장 동백장(1987), 인촌상(1994) 등 수상.
불교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아호는 불연(不然), 법명은 서봉(瑞峯). 황해도 봉산(鳳山) 출생. 아버지 종준(鍾駿)과 어머니 한순애(韓順愛) 사이의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3년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이듬해에는 동 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하였다. 1952년 4월부터 2년여 동안 효성여자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4년 10월 유학길에 올라 벨기에 루뱅(Louvin) 대학에서 사학 및 철학을 전공하고(文學士), 파리(Paris)대학에서도 수학하였다. 1960년 2월 루뱅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하여 동국대학교 교수와 영남대학교 교수, 그리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장 및 국민대학교 학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86년 동국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였다.
그는 왕성한 저술활동과 함께 한국불교를 세계에 소개하는 국제학술 교류에도 남다른 정성을 쏟았다. 1961년과 1964년에는 제6ㆍ7차 세계불교도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 바 있다. 1970년에는 미 국무성의 교환교수로 초청받아 필라델피아시 소재의 라싸레 대학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웨이크훠리스트대학 등에서 원효사상(元曉思想)을 강의하였다. 1971년 6월에는 하와이대학이 주최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사회’에 관한 국제학술회의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한ㆍ일협력위원회가 주최한 제1회 한일문화심포지엄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여 <신라 불교의 성격, 그 역사적 의의>라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76년 8월에는 동국대학교 창립 70주년기념 세계불교학술회의를 주관하여 ‘불교와 현대세계’라는 큰 주제 아래 외국학자 30여 명을 초청하여 발표 및 토론을 하고 결과를 논문집으로 출판하였다. 1976년 10월에는 대만의 타이베이에서 열린 APU 주최 제2회 아시아학자대회의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불교의 생활사상>을 발표하였다. 1978년 8월에는 한일불교교류협의회가 주최한 제2회 학술세미나에 참석하였으며, 1982년 7월 12일에는 미국의 아스펜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와 뉴 이알에이(New ERA)가 주최한 학술토론회에 각각 참석하여 발표한 바 있다. 1987년 9월에는 인도 정부가 주최한 세계불교학술회의의 기조연설자로 초청받아 연설한 바 있으며, 1989년 10월에는 제1회 에티엔느 라못트(Etienne Lamote) 심포지엄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국제학술활동 이외에도 그는 불교의 지성화와 생활화에도 커다란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974년 4월 그는 불교대중화 업적의 하나로 한국불교연구원을 창립하였다. 한국불교연구원은 불교의 기초교리와 신행연수 과정을 개설하고 본격적인 불교 대중화사업에 뛰어 들었다. 1974년 10월에 조직된 서울 구도회(求道會)를 필두로 1976년 2월에는 대구 구도회, 1977년 8월에는 부산 구도회, 1980년 10월에는 광주 구도회를 잇따라 조직하는 등 불교교리의 실천운동을 전국적 단위로 확대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활동들로 그는 1984년 12월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木蓮章)을 수상하였다.
1989년 8월에는 보다 효율적인 포교활동의 일환으로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불교연수회를 개최하고 동년 11월 [전국교사불자회]를 결성하였다. 그 뒤 전국교사불교연수회는 매년 불자교사들의 큰 호응 속에 성황리에 치러지고 있다.
1970년 이래 한국불교의 중요한 흐름 가운데 하나였던 ‘불교 현대화’에도 지대한 관심을 쏟았다. 또, 재가불교회의를 1991년 창설하여 공동의장으로 추대되었고, 경부고속전철의 경주 통과를 저지하는 사회운동에도 핵심 역할을 맡았다. 그가 내건 불교의 대중화와 지성화의 가치 등은 불교 포교 분야에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불교학자로서의 그는 특히 원효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저서 <원효사상>(권1)은 1967년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1996년 11월 한국불교연구원이 주최한 국제학술회의의 기조연설을 마치고 내려오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살아 생전 그는 불교연구에서 원전 해독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등, 불교학계의 연구 분위기를 일신했을 뿐만 아니라 비교종교, 불교 현대화 등에 남다른 열정을 보였다. 특히 원효를 세계사적으로 정립시킨 일은 중요한 학술적 업적이었다. 그는 한국불교연구원에서 기획 출판한 <한국의 사찰> 시리즈 18권을 공동집필한 것을 비롯, 저서 40여 권과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진심직설(眞心直說)>, <인도사상사>(상ㆍ하) 등 역서 10여 권이 있다.
【학력】
1943년 경성대학 예과 수료
1943년 경성대학 법문학부 중퇴
1944년 서울대 동양사학 수학
1957년 벨기에 루벵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
1958년 프랑스 파리제4대 수학
1960년 벨기에 루벵대 대학원 철학박사
【경력】
1922년 효성여고 교사(∼1952)
1960년 동국대 강사
1964년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1965년 동국대 비교사상연구소 소장
1968년 동국대 교양학부 부장, 동국대 불교대학장
1969년 영남대 교수(∼1972)
1971년 교육정책심의회 위원
1972년 국민대 교수, 국민대 학장(∼1973)
1972년 영남대 신라가야문화연구소 소장, 영남대 교양학부 부장
1974년 한국불교연구원 창립, 이사장(∼1996)
1974년 동국대 불교대 인도철학과 교수
1978년 정신문화연구원 연구3부장,백과사전 편찬부장(∼1981)
1981년 동국대 한국불교전서 편찬위원(∼1996)
1981년 정신문화연구원 철학연구실 실장
1982년 대한불교진흥원 이사(∼1996)
1982년 문화재 위원
1982년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1983년 평통자문회의 종교분과 상임위원(∼1996)
1988년 한국불교연구원 부설 원효학당 학장(∼1996)
1989년 불교방송 이사. 전국교사불자회 창립(∼1996)
1995년 한국불교재가회의 공동대표, 이사장
1996년 법보신문 고문
【상훈】
1968년 서울시문화상
1984년 국민훈장 목련장
1994년 인촌상
1996년 국민훈장 동백장
1996년 제11회 하성학술상
1996년 제1회 만해학술상
【논문】<불신(佛身)에 관한 연구>(1966) <원효의 보살계관(菩薩戒觀)>(1967)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1972) <교판사상(敎判史上)에서 본 원효의 위치>(1974) <경전인용에 나타난 원효의 독창성>(1975) <신라불교의 철학적 전개>(1977) <원효의 실상반야관(實相般若觀)>(1980) <중국 고대불교와 신라불교-원효의 불교 이해를 중심으로>(1981) 《A Buddhist's View on Ultimate Reality》(1982) 《○ Philosophy and Bodhisattva Ethics》(1986) <원효의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1987) <세계의 문화적 현실과 한국불교의 이상-원효사상은 21세기 세계를 향해 무엇을 줄 수 있는가?>(1988) <경전사상에 나타난 미륵사상(彌勒思想)>(1990) <현대에 있어서의 종교의 진리성>(1991)
【저서】<원효사상>(1967)〈원효의 보살계관(菩薩戒觀)〉(동국대불교대학.1967) <한국불교연구의 현실과 과제>(일지사.1975) <원효(元曉)의 입장에서 본 K. Jaspers의 das Umgreifende>(동국대학출판부.1976) <조선왕조 말기의 불교>(고랴대민족문화연구소.1976) <한국불교의 인간사상>(원광대출판부.1977)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새로운 질서>(동국대학교불교대학.1978) <한국종교의 근대화 방향>(원광대학교.1984) <신라의 불교집회>(신라문화선양회.1987)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의 근본정신〉〈한국불교연구〉
【번역서】<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원효.대양서적.1982) <진심직설(眞心直說)>(普照知訥.불교연구원.1993) <인도사상사>(상ㆍ하.中村元.동국대역경원.1984)
[출처] 불교학자 이기영(李箕永)|작성자 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