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위로
HOME > 게시판 > 회원게시판

<특별기고> 제70회 현충일을 추념하며

대선 | 2025.06.09 22:48 | 조회 548
  • 폰트
  • 확대
  • 축소

 

                                    <특별기고> 제70회 현충일을 추념하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문학평론가) 대산 신상구

 

  2025년 6월 호국보훈의 달에는 국가보훈처가 제70주년 현충일, 제99주년 6.10만세운동, 제75주년 한국전쟁 등을 맞이하여 추념식이나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현충일은 1956년 법률 제 623호에 따라 지정된 국가기념일로, 애국정신 함양과 순국선열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는 단지 추모에 그치지 않고, 국가의 정체성과 헌법적 이념을 상기시키는 날이기도 하다.

  1956년 현충일 제정 시에는 한국 전쟁에서 돌아가신 호국 영령을 기리는 날로 지정했으나 1965년부터 일제 강점기 독립 투쟁을 하다 돌아가신 순국선열까지 기리게 되었다고 한다.

  현충일을 6월 6일로 정한 이유는 24절기 중 하나인 망종과 겹치기 때문이다. 망종은 종자를 뿌리기 가장 좋은 날이며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수확 후 모내기를 시작하는 망종을 가장 좋은 날로 여겨, 이 날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고 한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선조들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영웅에게 예를 갖출 때 망종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여겨 6월 6일이 현충일로 지정된 것이다.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 거행

 

  2025년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은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오전 10시에 시작되었다. 추념식은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 수반, 국회의장, 대법원장, 국가유공자 및 유족 약 1만여 명이 참석했다. 주요 프로그램은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대통령 추념사, 추모 공연, 순국선열 호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6.25전쟁 75주년과 연계되어, 참전용사에 대한 예우와 감사의 메시지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제70주년 현충일을 맞아 6월 6일 오전 10시부터 1분간 전국에서 추념 사이렌을 울리고 추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사이렌은 제70주년 현충일 추념행사에 따른 것으로 조국 수호를 위해 헌신·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기원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서다. 현충일 사이렌은 적기의 공습에 따른 민방공 대피사이렌이 아닌 만큼 대한민국 국민들은 놀라지 말고 경건한 마음으로 1분간 묵념에 동참 후 정상적인 일상생활로 되돌아가면 된다.

  서울 외에도 대전, 부산, 광주, 대구,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 지자체 주관의 현충일 기념행사가 열렸다. 예를 들어, 대전에서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가족 단위 해설 프로그램과 함께 묘역 투어가 열렸고, 광주는 5.18민주묘지에서 호국음악회가 개최되었다. 제주는 4.3평화공원에서 특별 헌화식과 평화콘서트가 진행되었다. 이처럼 각 지역 보훈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추모 프로그램을 구성했으며, 지역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보훈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민들이 현충일에 참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조기(弔旗) 게양이다. 태극기를 깃봉의 2/3 높이에 내려 게양하며, 이는 애도의 상징으로 헌신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오전 10시에는 전국적으로 사이렌이 울리며 1분간 묵념이 진행되었는데, 운전 중일 경우 잠시 정차하여 묵념에 참여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그 외에도 SNS 해시태그 캠페인(#현충일묵념, #보훈의달 등), 현충시설 방문 및 유공자 유족에게 감사 인사 전하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반 시민이 추모의식을 실천할 수 있다.

  보훈가족은 국가보훈부가 주관하는 공식 추념식에 초청될 수 있으며, 지역 보훈지청에서도 위문 행사나 감사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유공자 묘역 방문, 가족 단위 묵념 참여, 후손 교육 등도 권장되고 있다.

  6·25한국전쟁으로 국군 13만 8,000여 명과 유엔군 3만 7,902명이 전사하고, 11만 5,000여 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은 2000년부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통해 6·25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시작했다. 현재까지 발굴되어 수습한 유해 수는 약 1만 3,000여 구이고, 아직까지도 수습되지 못한 유해는 약 12만 2,000여 구이다. 정부 차원이든 민간 주도로 추진하든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국군 전사자 12만 2,000여 명의 고귀한 헌신을 기억하고 호국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나라를 위한 희생과 헌신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기 위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물론, 국가공동체에 대한 일체감 형성과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오늘날의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수많은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이번 현충일 추념식을 통해 그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억하고, 대한민국을 지켜낸 모든 희생과 헌신을 가슴에 새기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사에서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고, 참전유공자 배우자 지원, 지역 기반 의료체계 구축, 군 경력 보상 현실화 등 보훈 정책을 약속했다. 또한 "제복 입은 시민들이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복무 여건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필자 약력>

.1950년 6월 26일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부친 신종순(辛鍾淳), 모친 유옥임(兪玉任)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

.아호 대산(大山) 또는 청천(靑川), 본관 영산신씨(靈山辛氏) 덕재공파(德齋公派)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한국 인플레이션 연구(A study of korean inflation」(1980.2)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A study of shamanic culture in Taean)」(2011.8)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 종로구 재동지점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조치원중, 조치원여고, 삽교중, 한내여중, 천안북중, 천안여중, 태안중, 천안중 등 충남의 중등학교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1994),

『아우내 단오축제』(1998),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2019)

『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전략』(2024) 등 다수

.수상 실적 : 예산군수 감사장, 대천시장상(2회), 천안시장상(2회),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2회) 교육부장관상(푸른기장),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문학 21』시부문 신인작품상,『문학사랑』·『한비문학』 문학평론 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게시판 1,582개(1/99페이지)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 2023.10.05 | 조회 510214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 2018.07.12 | 조회 676284
우리의 역사 27부. 집현전 숫자와 사육신 숫자 new
구영탄 | 2025.07.01 | 조회 116
우리의 역사 48부. 흥선대원군의 일본 이름 new
구영탄 | 2025.07.01 | 조회 109
우리의 역사 26부. 통일 신라 셀주크 투르크, 그리고 탕쿠트 부족.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59
우리의 역사 25부. 청나라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48
우리의 역사 24부. 요나라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55
우리의 역사 23부. 위촉오 나라 , 프톨레 마이오스(5호 16국)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40
우리의 역사 22부. 송수당명나라 원 금나라왕조 동로마 왕 같음.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28
우리의 역사 21부. 서 동로마 왕들과 프톨레 마이오스 왕 숫자가 같음.(고구려백제신라가야)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50
우리의 역사 20부. 상하은주와 파피루스 고대 로마그리스 신화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40
우리의 역사 19부. 프톨레마이오스 왕, 5호 16국과 수당나라 왕의 숫자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35
우리의 역사 47부.. 욕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37
우리의 영사 46부. 세종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33
우리의 역사 18부. 프톨레 마이오스 왕조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41
우리의 역사 45부. 트럼프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46
우리의 역사 44부. 도리스 부족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26
우리의 역사 17부. 전국시대 7웅왕의 숫자.
구영탄 | 2025.06.29 | 조회 153
처음페이지이전 5 페이지12345다음 5 페이지마지막페이지
삼랑대학
STB동방신선학교
세종문고 쇼핑몰
증산도 공식홈 안드로이드앱 다운로드